제주해녀문화 대백과사전


물때 지식


개관

물때 지식은 바닷물의 높이와 물 흐름의 세기 등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물때에 따라 바다에 드는 시간과 나는 시간이 다르고 물질하는 장소가 정해지기 때문에 해녀들에게 물때 지식이야말로 중요한 관심 사항이다.
물때는 달의 운행에 따른 것이므로 음력을 기준으로 한다. “보름 일곱 그믐 일곱” 또는 “보름 여섯 그믐 여섯”으로 하여 물때가 정해진다. “보름 일곱 그믐 일곱”은 보름과 그믐의 물때를 일곱무날로 한다는 뜻이고, “보름 여섯 그믐 여섯”은 보름과 그믐의 물때를 여섯무날로 셈한다는 말이다. 대체로 제주 동부지역에서는 “보름 일곱 그믐 일곱”을 적용하며, 서부지역에서는 “보름 여섯 그믐 여섯”을 물때에 적용한다. 이 기준에 따라 동서지역의 물때를 보면 다음 표와 같다.

 

<제주도 동부지역과 서부지역의 물때>

동부지역

표준어

서부지역

물때

날짜

날짜

물때

ᄒᆞᆫ물

9. 24.

한무날

10. 25.

ᄒᆞᆫ물

두물

10. 25.

두무날

11. 26.

두물

서물, 세물

11. 26.

서무날

12. 27.

서물, 세물

너물

12. 27.

너무날

13. 28.

너물

다섯물

13. 28.

다섯무날

14. 29.

다섯물

ᄋᆢᄉᆞᆺ물

14. 29.

여섯무날

15. 30.

ᄋᆢᄉᆞᆺ물

일곱물

15. 30.

일곱무날

16. 1.

일곱물

ᄋᆢ답물

16. 1.

여덟무날

17. 2.

ᄋᆢ답물

아홉물

17. 2.

아홉무날

18. 3.

아홉물

열물

18. 3.

열무날

19. 4.

열물

열ᄒᆞᆫ물

19. 4.

열한무날

20. 5.

열ᄒᆞᆫ물

열두물

20. 5.

열두무날

21. 6.

열두물

조금

막물

21. 6.

아츠조금

22. 7.

아끈조금

아끈조기

아끈줴기

아끈조금

아끈조기

아끈줴기

22. 7.

한조금

23. 8.

한조금

한조기

한줴기

한조금

한조기

한줴기

23. 8.

무쉬

24. 9.

게무수

게무숨

게무심

무수

부날


표에서 보듯이 “보름 여섯 그믐 여섯”을 적용하는 제주 서부지역의 물때는 표준어 물때와 같다. 한무날에서 열두무날까지는 동부지역과 서부지역에 따라 하루가 차이난다. 그러나 아츠조금과 한조금인 경우 동서에 차이가 없다. 곧 아츠조금은 음력 22일과 다음 달 7일의 물때이고 한조금은 음력 23일과 다음 달 8일의 물때이므로 동부지역과 서부지역이 같다.
15일 동안의 물때 가운데 ‘보름’이 들어 있는 물때를 ‘보름물찌’라 하고 그믐이 들어 있는 물때를 ‘구뭄물찌’라 한다. 동부지역에서 보름이 들어 있는 ‘보름물찌’는 음력 9일부터 23일까지, ‘구뭄물찌’는 음력 24일부터 다음 달 8일까지다. 서부지역의 ‘보름물찌’는 10일부터 24일까지, ‘구뭄물찌’는 25일부터 다음 달 9일까지가 된다.
물때는 바닷물이 밀려와 해수면이 높아지느냐 내려가서 해수면이 낮아지느냐에 따라 밀물과 썰물로 나눈다. 하루 24시간 동안 밀물 두 번, 썰물 두 번씩 갈마들기 때문에 한 번의 밀물과 썰물의 시간은 각각 6시간씩이다. 6시간 동안의 밀물은 초들물, ‘반들물’, 참물 셋으로 구분한 다. ‘초들물’은 초반의 밀물, ‘반들물’은 중간의 밀물, ‘참물’은 후반의 밀물을 뜻한다. 썰물 또한 초썰물, ‘반쌀물’, ‘감물’로 구분한다. ‘초썰물’은 초반의 썰물, ‘반쌀물’은 중간의 썰물, ‘감물’은 후반의 썰물이다. 제주해녀들은 초들물을 ‘초든물, 초들물’이라 하고 참물은 ‘ᄎᆞ들이’ 또는 ‘ᄎᆞᆷ들이’라고 한다. 또 초썰물은 ‘초쌀물, 초ᄊᆞᆯ물’이라 하고 ‘감물’은 ‘ᄌᆞᆺ세기’라고 한다.
물살의 빠르기에 따라 사리와 조금으로 나눈다. 사리는 물살이 셀 때, 조금은 물살이 느릴 때를 말한다. 사리는 보름과 그믐을 기준으로 그 앞뒤 2, 3일이니 사리는 15일 동안 대략 6일 정도이고 그 나머지는 조금이다. 사리에는 백중사리와 한사리가 있다. 백중사리는 음력 7월 14일(지역에 따라 7월 15일)을 전후한 물때를 말하고 한사리는 보름과 그믐께 물때로 해수면이 가장 높은 물때를 말한다. 사리 때는 대체로 물질하지 않는다.
조금은 아츠조금과 한조금이 있다. 아츠조금과 한조금은 제주 동부지역과 서부지역에 차이가 없다. 음력 22일과 다음 달 7일은 아츠조금이고 음력 23일과 다음 달 8일은 한조금이 된다. 아츠조금은 ‘아끈조금’, ‘아끈조기’, ‘아끈줴기’라 하고 한조금은 ‘한조금’, ‘한조기’, ‘한줴기’ 등으로 부른다.
시간에 따라 ‘안물’과 ‘낮물’로 나누어 말하기도 한다. ‘안물’은 아침나절에 써는 물 또는 아침나절에 하는 물질, ‘낮물’은 한낮의 썰물을 말한다. ‘안물’은 달리 ‘앞물, 아침물’이라 한다.


참고 문헌

고광민, 《제주도의 생산기술과 민속》, 대원사, 2004.
고광민, 《제주 생활사》, 한그루, 2016.


필자

고광민(高光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