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알고둥

눈알고둥_제주_2011_강영봉
학명
Turbo coronata coreensis
방언
남뎅이보말, 눈다드레기, 돌포말, 문다기, 문다닥지, 문다데기, 문다드레기, 문다드리, 문닥지, 문닫게, 문더께, 문더닥지, 문데기, 문데다리, 문두닥지, 씬데기
정의
원시복족목 소랏과에 딸린 연체동물.
내용
눈알고둥의 껍데기는 매우 단단하다. 석회질 뚜껑이 물고기 눈알처럼 바깥쪽으로 부풀어 올라 있고 안쪽은 오목하다. 뚜껑이 석회질이기 때문에 소랏과에 속한다. 껍데기에는 녹조류가 항상 붙어 있고 바위에 붙어 자라는 해조류를 갉아 먹는다. 암수딴몸인데 생식소가 암녹색이면 암컷, 유백색이면 수컷이다. 바닷가인 ‘웃밧’에 살며 뚜껑을 닫으면 살을 꺼내기가 어렵다. 쓴맛이 나지만 삶아서 먹는다. 민간에서는 당뇨병에 효험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지역 사례] 눈알고둥의 방언형 ‘눈다드레기, 문다기, 문다닥지, 문다데기, 문다드레기, 문다드리, 문닥지, 문닫게, 문더께, 문더닥지, 문데기, 문데다리, 문두닥지’ 등 ‘문 닫다’ 계열은 제주도 전 지역에 분포하고, ‘남뎅이보말’은 동부지역인 성산과 서부지역인 애월에 나타나며, ‘돌포말’은 동부지역인 조천, 구좌, 우도와 서부지역인 한림, 한경 등에 나타난다. ‘씬데기’는 한경에서 조사되었다. ‘남뎅이보말’은 껍데기 색깔이 ‘남색’이어서 붙은 이름이다. ‘돌포말’은 ‘돌ㅎ+보말’로 단단한 껍데기에서 연유한 이름이다. ‘씬데기’는 맛이 써서 붙은 이름이다.
지역 사례
눈알고둥의 방언형 ‘눈다드레기, 문다기, 문다닥지, 문다데기, 문다드레기, 문다드리, 문닥지, 문닫게, 문더께, 문더닥지, 문데기, 문데다리, 문두닥지’ 등 ‘문 닫다’ 계열은 제주도 전 지역에 분포하고, ‘남뎅이보말’은 동부지역인 성산과 서부지역인 애월에 나타나며, ‘돌포말’은 동부지역인 조천, 구좌, 우도와 서부지역인 한림, 한경 등에 나타난다. ‘씬데기’는 한경에서 조사되었다. ‘남뎅이보말’은 껍데기 색깔이 ‘남색’이어서 붙은 이름이다. ‘돌포말’은 ‘돌ㅎ+보말’로 단단한 껍데기에서 연유한 이름이다. ‘씬데기’는 맛이 써서 붙은 이름이다.
참고 문헌
권오길 외 2명, 《원색 한국패류도감》, 아카데미서적, 1993.
김순자, 《제주도 방언의 언어지리》, 도서출판 각, 2020.
최병래, 《한국동식물도감》(제33권 동물편( 연체동물Ⅱ)), 교육부, 1992.
홍성윤 외 23명, 《한국해 양무척추동물도감》, 아카데미서적, 2006.
필자
강영봉(姜榮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