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리

대수리_하귀2리_2007_김순자
학명
Reishia calvigera
방언
마타살, 마타슬, 마타실, 마테살
정의
신복족목 뿔소랏과에 딸린 연체동물.
내용
대수리의 몸은 방추 모양이다. 껍데기 부리 안쪽은 검정보라색이며 장마 때 모여 산다. 그래서 방언 이름에 ‘마’가 들어 있다. 두드럭고둥과 비슷하게 생겼다. 껍데기 부리 안쪽 색깔이 검정보라색이면 대수리, 등황색이면 두드럭고둥이다. 대수리가 두드럭고둥보다는 작다. “메옹이 엿날엔 셔난디 이제는 엇어. 마테살 그 ᄌᆞᆫᄌᆞᆫ허고 까망헌 거주게. 메옹이 훍어. 훍고 섹깔도 틀리고. 마테살은 까망허주게. 이만썩 ᄌᆞᆫᄌᆞᆫ헤여. 훍질 아녀(두드럭고둥 옛날에는 있었는데 이제는 없어. 대수리 그 자잘하고 까만 거지. 두드럭고둥이 커. 크고 색깔도 다르고. 대수리는 까맣지. 이만큼씩 자잘해. 굵질 않아.).”라는 해녀들의 구술에서 두드럭고둥과 대수리의 차이를 알 수 있다. 대수리는 ‘웃밧’이라는 갯가에 산다. 암수딴몸으로 암컷은 노란색 알집을 갖는다. 산란기는 6~8월이다. 바위틈에 모여 살며, 고둥류에 산酸을 분비하여 구멍을 뚫고 잡아먹는다. 삶아서 먹는다.
지역 사례
대수리의 방언형 ‘마타살’은 제주도 동남부지역인 성산, 표선, 남원과 서부지역인 한경, 한림에 나타나며, ‘마타슬’은 애월, ‘마타실’은 우도, 애월에 분포한다. ‘마테실’은 대정에서 조사되었다
참고 문헌
권오길 외 2명, 《원색 한국패류도감》, 아카데미서적, 1993.
양현성·최광식, 《제주도 조간대 해양생물》, 국토해양부·제주씨그랜트사업단, 2011.
제종길 외 4명, 《우리바다 해양생물》, 다른세상, 2002.
최병래, 《한국동식물도감》(제33권 동물편(연체동물Ⅱ)), 교육부, 1992.
홍성윤 외 23인, 《한국해양무척추동물도감》, 아카데미서적, 2006.
필자
강영봉(姜榮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