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해녀문화 대백과사전


군부


돌군벗(왼쪽)과 하르비군벗(오른쪽)_비양도_2011_강영봉

학명

Acanthopleura japonica


방언

군벗, 군붓, 굼벗


정의

다판강 신군부목 군붓과에 딸린 연체동물.


내용

군부는 타원형의 몸체에 단단한 여덟 개의 패각판이 살 속에 묻혀 있다. 패각판은 몸보다 크고 외투막은 짧은 털로 덮여 있다. 촉수와 눈이 없는 대신 턱에는 이에 해당하는 치설이 있어 바위 표면에 붙어 있는 작은 해조류를 갉아먹는다. 암수딴몸이다. 빛을 싫어하여 바위틈이나 갯바위 밑에서 볼 수 있다. 주로 밤이나 만조 때 활동한다. 부착력이 강해서 물리적 자극을 받은 상태에서는 도구 없이 떼어내기가 어렵다. 패각판과 털, 내장을 제거한 뒤 삶거나 무침, 젓갈, 촛국으로 만들어 먹는다.


지역 사례

군부의 방언형 ‘군벗’은 제주도 전 지역에 분포하며, ‘군붓’은 제주도 동남부지역인 표선, ‘굼벗’은 서부 지역인 애월, 한림에 나타난다.


특징과 의의

제주 무가 <문전본풀이>에 따르면 군부는 ‘남선비’의 첩인 ‘노일제대귀일의 딸’의 “손콥 발콥 그찬 데껴 부난 쐬굼벗 돌굼벗(손톱과 발톱을 끊어 던져 버리니 ‘쇠굼벗’, ‘돌굼벗’)”이 되었다고 한다.
군부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그 대강은 아래의 <표>와 같다. 방언형에 따른 표준어 이름 확인이 어려운 것도 있다.

 

<군부 종류>

군부

방언형

비고

벌레군부

곰베군벗, 졸갱이군벗

패각판 퇴화

털군부

고넹이군벗, 물군벗, ᄎᆞᆷ군벗, 터럭군벗,

하레비군벗, 하르비군벗, 할미군벗

작은 패각판

군부

돌군벗, 쐬군벗, 쐬굼벗

 

-

돗군벗

 

-

망군벗

 

-

바당군벗

털이 매끈함


참고 문헌

권오길 외 2명, 《원색 한국패류도감》, 아카데미서적, 1993.
김순자, 《제주 수산물 방언 자료집》,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수산경제연구원, 2014.
양현성·최광식, 《제주도 조간대 해양생물》, 국토해양부·제주씨그랜트 사업단, 2011.
제종길 외 4명, 《우리바다 해양생물》, 다른세상, 2002.
홍성윤 외 23명, 《한국해양무척추동물도감》, 아카데미서적, 2006.


필자

강영봉(姜榮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