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륙
出陸
정의
배를 타고 제주도를 떠나 육지로 나감.
내용
조선시대 많은 제주사람들이 각종 사회적·경제적 요인들로 인해 본거지인 제주를 떠나 불가피하게 육지로 나갔음을 살필 수 있다. 조선시대 제주사람들이 왜 고향인 제주를 떠나 출륙出陸을 감행하여야 하였는지 그 배경을 살펴보면 제주도의 열악한 지형적 조건으로 말미암은 생계적 고난과 조선 정부의 과중한 공부貢賦 증대와 탐관오리 및 향권鄕權의 부당한 착취, 수탈 등의 사회 경제적 요인을 들 수 있다. 또한 지리적인 조건으로 인해 파생된 왜구의 잦은 침입과 그로 인한 극심한 피해는 제주 방어체제의 강화로 이어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관방시설의 구축 및 군사로 징발되는 등의 군역 증대도 제주도민들이 출륙하게 된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출륙한 제주도민들은 주로 전라도나 경상도 해안지역에 산거하면서 포작의 역을 지고 정주하였다. 또한 몸소 체험으로 습득한 해양사적 정보로 말미암은 선박 건조술과 항해술, 수전술은 왜구들의 침입에 시달리는 조선 정부에게 절실히 필요한 것이었다. 이에 조선 정부는 출륙한 제주도민들 중 포작인들의 군사적 능력을 활용하고자 격군 등의 수군으로 편입해 군사적 역할을 담당하게 하였다. 그리고 중앙 정부가 그들에게 취한 정책에 의거하지 못했거나 이를 기피하였던 또 다른 출륙 제주도민들은 한반도 연해안을 유랑하면서 수적水賊이나 왜구에 유착되어 갖가지 사회문제를 야기하기도 하였다.
조선 정부는 출륙한 제주도민들의 집단적인 유망도산이 증가하고 그들이 수적이나 왜구에 편승하는 일을 막기 위해 여러 가지 방지 대책 및 쇄환 정책 등을 시도하였다. 하지만 이는 제주도민들이 출륙하게 되는 근본적인 요인을 인식하지 못한 임시방편적인 조치였고 유망하는 제주도민들의 숫자도 줄이지 못하였다. 인조 7년(1629) 출륙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출륙금지령’이라는 특단의 조치를 취하게 된다. 남아 있는 제주사람들에 대해서는 해산물 진상 공물의 수량 경감과 함께 평역고 및 보민고를 설치하여 어복 진상의 고역을 경감시키고자 하였지만 또 다른 병폐를 낳는 결과가 되고 말았다.
참고 문헌
김나영, <조선시대 제주지역 포작의 사회적 지위와 직역변동>,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필자
김나영(金奈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