넓패

넓패_비양도_2021_강정찬
학명
Ishige foliacea
방언
넘피, 넙패
정의
패과에 딸린 바다풀.
내용
넓패는 갈색 또는 암갈색 해조류로 암반 또는 패(Ishige okamurae) 위에 붙어 자란다. 헛뿌리는 작은 원반상이며 짧은 원통 모양의 자루를 낸다. 자루는 곧 넓게 확장하여 편평한 띠 모양의 엽상부를 형성한다. 엽상부는 같은 평면상에서 2~4회 두 갈래로 갈라지므로 뚜렷한 중심축은 없으며 끝은 뭉툭하고 질감은 가죽질로 다소 질기다. 높이 20cm, 폭 2~3cm 내외로 자란다. 조간대 상부에서 중부의 파도가 잔잔한 곳에 서식하며 5~6월에 최대로 성장한다. 계절성 해조류로 7월부터는 잘 관찰되지 않는다. 공기 중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지면 검은색으로 변하고 딱딱해지면서 잘 부스러진다. 바닷물에 다시 잠기면 곧 활력을 되찾아 갈색의 유연한 상태를 회복한다.
지역 사례
서귀포시 대포동 해녀들은 동짓달부터 음력 3월 사이에 넓패를 매어다가 단물에 깨끗이 씻어 삶아 두고 조금씩 된장을 풀어 국을 끓여 먹었다.
특징과 의의
식용 가능한 해조류로 제주에서는 국거리로 많이 활용되었다. 제주해녀들은 음력 2월에 넓패를 채취해서 말려두었다가 된장이나 젓국을 풀어 국을 끓여 먹었다. 이런 국을 ‘넙패국’이라고 한다. 넓패는 게와 소라게의 먹이였다. 최근 서식처가 급속히 감소하는 추세다. 한림읍 비양도, 우도면 오봉리 연안에는 아직도 넓패 군락이 남아 있다.
참고 문헌
고광민, 《제주도의 생산기술과 민속》, 대원사, 2004.
고광민, 《제주 생활사》, 한그루, 2018.
김명숙 외 4명, 《제주 우도의 해조류 다양성》,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22.
이기완, <제주도 해양생물의 지방명-1. 조류>, 《해양과학연구소 연구논문집》 5, 제주대학교 해양과학연구소, 1981.
이용필, 《제주의 바닷말》, 아카데미서적, 2008.
필자
강정찬(姜丁巑), 고광민(高光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