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해녀문화 대백과사전


전설


개관

전설은 증거물을 근거로 하여 자연물, 사물, 사람, 풍속, 신앙을 비롯한 인간사회 제반 현상과 내력들의 사실성을 드러내고자 하는 이야기다. 전설의 내용은 실제와 근접한 단순한 내용부터 아주 기이하고 복잡한 내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양상을 보여준다. 그 지역에서 일어난 어떠한 사실이 다음 세대로 전승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허구적 요소가 끼어들어 문학적으로 형상화되고 교훈적 목적이나 교육적 기능을 갖기도 한다.
해녀와 관련된 전설들은 사실과 밀착된 지명 유래, 물질 생업 실태와 관련된 일화 등이 주를 이룬다. ‘용궁올레’는 제주 사람들의 관념과 인식을 잘 반영하고 있는 지명 전설이다. 마을의 자연물인 ‘용궁올레’라는 증거물과 연결지어 마을 역사의 일부를 설명하는 기능을 한다. 해녀가 용궁올레라는 길목을 통하여 용궁에 들어갔다가 빠져나왔다는 이야기는 해녀들의 생활공간인 바닷속 세계에 관한 인식 태도를 함축하고 있다.
물질 중 아득히 정신을 잃었다가 살아서 돌아온 해녀들의 이야기는 대체로 용궁에 다녀왔다는 전설로 전승되고 있다. 용궁에 다녀온 해녀들의 이야기는 제주도 도처에 폭넓게 전승되어 왔다. 이원조의 《탐라지초본》에 실려 있는 <산호해녀> 전설은 해녀가 바다거북을 돌봐준 보은의 대가로 용궁에서 산호꽃 가지를 얻고 돌아온 이야기인데 옛 문헌에도 실릴 만큼 오랜 세월 동안 면면히 이어져 왔음을 알 수 있다. <용궁 다녀온 만행이 할머니>는 나이든 해녀가 물질 중 사고로 죽은 줄 알았는데 뜻밖에 살아서 돌아왔다는 신이한 이야기다.
<김덕이여>는 김덕이라는 해녀가 발견해서 바다밭 지명으로 명명된 유래담이면서 지명과 인명이 결합된 지역 전설이다. 제주 바다밭의 수많은 여들은 해양지식이 풍부한 해녀들에 의해 발견되었다. <김덕이여>와 같이 지명이나 지형, 자연물에 관한 전설들은 일상적인 생활공간을 새롭게 의미화하고 해석해 낸 성과라 할 수 있다. 지역 사람 들은 해녀들의 물질 공간에서 공동의 지식체계를 공유하면서 생계를 같이하고 정서적인 일체감과 유대를 형성할 수 있었다.
<김덕이여>를 비롯하여 <점복할망>, <만행이 할머니>, <해녀 아들 송중이>, <고래등에 붙은 점복 딴 해녀>, <산호 해녀> 등은 모두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인물에 관한 인물 전설이기도 하다. <점복할망>은 물질로 마을을 일으키고 생활을 영위하는 구심점 역할을 하는 능력 있는 해녀 이야기다.
<고래등에 붙은 점복 딴 해녀>는 전복이 많았던 ‘여’에 관한 신기한 경험에서 “고래등을 긁었다.”는 관용적 표현이 탄생한 유래담이다. 구사되는 어휘나 문체가 소박하며 일상의 생활언어가 중심을 이룬다. <해녀 아들 송중이>는 마을 형성의 유래가 되는 전설이다. 전설 속 해녀는 좌절과 고통으로 얼룩진 일생을 지내는 비극적 인물이다. 해녀와 해녀 아들 송중이의 좌절은 인간으로서 지닌 한계와 숙명에 관한 해녀들의 인간관과 현실 인식을 반영한다.
마을 사람이라면 누구나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습득하게 되므로 이러한 전설들은 집단으로 전승되며 지역 공동체 유산의 성격을 지닌다. 전설은 민중들의 생활 속에서 형성되고 전승되어 왔으므로 해녀들의 삶의 이면과 사회 인식의 일단을 엿볼 수 있다.


필자

양영자(梁永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