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싼 때 나비ᄌᆞᆷ 자당 물들어사 바당에 든다
표준어
물썬 때 나비잠 자다가 물밀어야 바다에 든다
내용
적당한 때를 놓치면 서두르게 된다는 뜻이다. 서두른 결과는 대체로 좋지 않다. “물들어사 ᄀᆞᆷ바르 잡나(물밀어야 ‘ᄀᆞᆷ바르’ 잡는다.).”는 속담과 같은 의미로 쓰인다. 자료집이나 조사자에 따라 “물싼 때랑 내비ᄌᆞᆷ 자당 물 들어사 ᄀᆞᆷ바르 잡나(물썬 때랑 나비잠 자다가 물밀어야 ‘ᄀᆞᆷ바르’ 잡는다.).”, “물싼 때랑 나비ᄌᆞᆷ 자당 물들어사 ᄀᆞᆷ바리 잡나(물썬 때랑 나비잠 자다가 물밀어야 ‘ᄀᆞᆷ바르’ 잡는다.).”, “물쌀 땐 나비ᄌᆞᆷ 자당 물들어사 ᄀᆞᆷ바리 잡나(물썰 때는 나비잠 자다가 물밀어야 ‘ᄀᆞᆷ바르’ 잡는다.).”로 나타나기도 한다. ‘ᄀᆞᆷ바르’는 ‘웃밧’이라는 갯가에 서식하는 개울타리고둥, 댕가리, 명주고둥, 밤고둥 등 자잘한 고둥류를 말한다.
참고 문헌
김순이, <제주도의 잠수 용어에 관한 조사보고(속담·금기어)>, 《조사연구보고서》(제4집),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 1990.
김영돈, <해녀 관련 민속: 속담>, 《한국의 해녀》, 민속원, 1999.
진성기, 《남국의 속담》, 제주민 속연구소, 1959.
필자
강영봉(姜榮峯)